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회색 한상기.png

<aside> 🚩 “생성형 AI와 시민사회의 역할”

올해의 화두로 빼놓을 수 없는 AI. 과연 지금 기술은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논의를 따라가기 힘들 만큼 거센 변화, 핵심을 정리해봅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기되는 다양한 주제들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이해해보려 합니다. AI 시대에 사람들이 모이고 의견을 내고 여론을 만드는 과정은 어떻게 변화할지, 시민사회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지 알아봅니다.

#인공지능 #사회변화 #시민사회의 역량

</aside>

“*울대 컴퓨터공학과 1회 졸업생으로 1980년대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종합기술원, 삼보컴퓨터, 삼성전자를 거쳐 1999년 국내 최초의 엑셀러레이터 벤처포트를 설립하고 2003년 다음커뮤니테이션(현 카카오) 전략대표와 일본 법인장을 역임했다. 이후 카이스트와 세종대 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테크프론티어 대표를 맡고 있다.

현재 기업을 위한 기술기반 전략 컨설팅, 정부 정책 과제 수행과 자문을 하고 강연과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장

이유진 흑백 2.png

<aside> 🚩 “담대한 전한을 위한 몇 가지 질문”

에너지 전환을 위해서는 이제까지 유지해 온 삶의 방식을 바꾸어야 할지 모릅니다. 개인의 차원을 넘어 생산과 분배의 시스템을 새로 짜는 상상력도 필요합니다. 반갑거나 버겁거나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지금 기꺼이 물어야 할 질문을 마주해봅니다. 우리 지역, 각 분야 시민사회에서 시작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해 봅니다.

#에너지 전환 #지속가능 사회 #지구

</aside>

“ 1999년 녹색연합 활동을 시작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전환을 주제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대통령소속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으로 2050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에 참여하였다. 또한 서울특별시의 원전하나줄이기, 태양의도시, 그린뉴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참여했으며, 한국사회가 탈탄소 사회로 전환하면서 좋은 사회가 될 수 있는 대안과 정책에 대한 관심이 깊다. ”